반응형
24년 기준 중위소득 (基準中位所得) 관련 내용과 급여 종류별로 혜택을 받으시는 대상자를 뽑는 기준에 대하여 확인하시고, 본인의 소득이나 급여 수준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그에 따라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바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중위소득 (基準中位所得) 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을 세우기 위해,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정하고 있는데, 이를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대한민국 국민의 총가구의 월 세전 소득을 조사하여 위에서 부터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앙에 있는 값을 말합니다.
이는 생계급여나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급여 종류별로 선정 기준을 달리하고 있으니 이 사항을 참고하시어 혜택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시어, 관련 지원금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가구별 급여 종류별 금액
구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기준 중위소득 | 2,228,445 | 3,682,609 | 4,714,657 | 5,729,913 | 6,695,735 | 7,618,369 |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 30%) |
668,534 | 1,104,783 | 1,414,397 | 1,718,974 | 2,008,721 | 2,285,511 |
의료급여 (기준 중위소득 40%) |
831,157 | 1,382,462 | 1,773,926 | 2,160,386 | 2,532,275 | 2,891,192 |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 46%) |
1,025,085 | 1,694,000 | 2,168,742 | 2,635,760 | 3,080,038 | 3,504,450 |
교육급여 (기준 중위소득 50%) |
1,114,223 | 1,841,305 | 2,357,329 | 2,864,957 | 3,347,868 | 3,809,185 |
기준 중위소득 60% | 1,337,067 | 2,209,565 | 2,828,794 | 3,437,948 | 4,017,441 | 4,571,021 |
기준 중위소득 100% | 2,228,445 | 3,682,609 | 4,714,657 | 5,729,913 | 6,695,735 | 7,618,369 |
기준 중위소득 120% | 2,674,134 | 4,419,131 | 5,657,588 | 6,875,896 | 8,034,882 | 9,142,043 |
기준 중위소득 150% | 3,342,668 | 5,523,914 | 7,071,986 | 8,594,870 | 10,043,603 | 11,427,554 |
기준 중위소득 180% | 4,011,201 | 6,628,696 | 8,486,383 | 10,313,843 | 12,052,323 | 13,713,064 |
"나의 기준중위소득 구간"을 정확히 알아보고자 하신다면 간단한 입력만으로 바로 확인하실 수 있으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지자체별 24년 출산지원금 (임신 출산 지원) (0) | 2024.02.19 |
---|---|
경기도 청년대상 어학 및 자격증 시험 응시료 지원 신청 메뉴얼 (0) | 2023.10.15 |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대상 1인 지원업종 및 지원제한업종 상세 (0) | 2023.10.13 |
일하고 싶은 중장년 일자리 정부 지원 정책 (각 사업별 상세 안내) (0) | 2023.09.18 |
청년 정부지원 신혼부부 전용 대출상품 알아보기 (0) |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