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직 은퇴

퇴직예정자를 위한 퇴직금 어떻게 운용할까

by 유용한 정보 제공자 2024. 8. 22.
반응형

퇴직예정자를 위한 퇴직금 운용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노후를 위해 활용할 퇴직금을 어떻게 배분하여 퇴직연금을 운용해야 할지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립니다.

 

퇴직예정자를 위한 퇴직금 운용

 

제일 중요한 것은 자산배분

회사를 다니신 분이 퇴직을 하게 되면 퇴직연금제도에 의해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지 않는다면 퇴직연금으로 운용을 하게 되는데, 이를 어떻게 운용해야 할지 모르시는 분이 꽤 많이 있습니다. 나의 노후 생활을 위해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도 생각하면서 꼬박꼬박 들어오는 연금 수익을 기대하시게 될 텐데 그러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리스크 분산을 위한 자산배분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본은 6:4 또는 영구 포트폴리오 운용

가장 전통적으로 자산을 배분하는 방법으로 주식이나 펀드 (ETF 포함)과 채권의 투자 비중을 6:4 로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공격적인 투자 성향이시라면 7:3을 선택하시는 분도 있지만 안정적인 노후 자금 운용을 위해서는 최소 6:4 정도를 만들어 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나 실제 퇴직 이후, 은퇴와 함께 별도의 소득이 발생하지 않으시다면 좀 더 안정적으로 주식 비중을 줄이고 채권이나 예금 비중을 높여보는 것도 고민해 보셔야겠습니다.

 

포트폴리오 비교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영구 포트폴리오라는 것이 있는데 영구 포트폴리오는 보다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접근법으로 주식/ 장기채권 / 금, / 현금 및 단기채권의 비중을 25% 씩 4 등분해서 어떤 경제 상황이 와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 특징이 되겠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산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에 속 편하게 연금 수익을 통해 안정적인 연금을 받으시겠다고 하시는 분들이 선호하는 포트폴리오 운용 방식이 되겠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포트폴리오

 

EMP와 TDF 란 무엇인가?

EMP (ETF Managed portfolio) 는 투자 대상이 ETF인 펀드를 말하는데, 여러 주식을 모아 놓은 '묶은 상품'인 ETF를 여러 개 담아 운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 많고 넓은 영역에 투자하기 때문에 초분산 투자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시장 변동성이 높을 때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TDF (Target Date Fund)는 투자자의 은퇴 시점(Target Date)에 맞추어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투자비중을 자산배분곡선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산배분 펀드로 예를 들어 TDF상품명에 2040/2045/2050 등으로 은퇴시점(Target Date)을 지정하고 그 시점에 맞춰 투자 비중을 달리하는 상품이 되겠습니다.

 

이는 은퇴시점이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안전자산 쪽의 투자 비중을 높이는 것으로 전략적 운용을 하는 상품이 되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퇴직금 수령방법 비교 - 일시금 수령과 연금 수령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거나 추후 연금으로 수령하는 방법이 있을 텐데, 각각의 선택을 했을 때의 세금 관련 사항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퇴직금은 1년 이상 계속 근로를

issue.studygodoit.com

 

퇴직할 때 해야 할 일 - 구직급여 실업급여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신청

퇴직을 하실 때 꼭 해야 할 일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퇴직 후 당장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을 때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구직급여 실업급여가 있습니다. 이를 신청함과 동시에 함께 챙

issue.studygodoit.com